정보보안기사 필기 31장 요약내용입니다.

1 minute read

* 2020 조현준 정보보안기사 산업기사 필기 + 핵심기출 1200제 정보보안기사 & 산업기사 필기 교재를 기반으로 요약하였습니다.

Section 31. 최신 네트워크 보안 동향 (네트워크 보안)

1. ESM(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각종 네트워크 보안제품의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여 중앙 통합 관리, 침입 종합 대응, 통합 모니터링이 가능한 지능형 보안 관리 시스템

1) 기능

  • 통합 로그 관리

  • 이벤트 필터링

  • 실시간 통합 모니터링/경보/상황전파

  • 로그 분석 및 의사결정 지원, 긴급대응, 리포팅

2) 구성요소

- ESM 클라이언트(에이전트)

→ 개별 보안 장비에 탑재되어 운영

→ ESM 서버의 매니저로부터 통제를 받아 이벤트 처리와 개별 보안 장비의 통제를 수행

→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정보와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ESM 매니저에게 전달

→ ESM 매니저로부터 각종 보안 정책 적용 및 개별 보안 솔루션 기능 수행을 명령 받음

- ESM 서버

구분 특징
ESM 매니저 - 통합 보안 정책의 생성, 적용 관리
- 에이전트로부터 수집된 이벤트 정보와 로그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고 관리자에게 보고
- ESM 콘솔을 통한 관리자의 개별 보안 장비 통제 명령을 각 에이전트로 전달하여 통합 보안 통제를 지원
ESM 콘솔 - 개별 에이전트에서 이벤트 로그 모니터링
- ESM 매니저에게 분석한 위험 및 해킹 분석 결과 확인
- ESM 개별 에이전트에 해킹 차단 등의 보안 운영 통제 명령 전달
- 보안 정책 관리 및 배포

3) ESM 데이터 매니지먼트

  • ESM Event Log Repository : 개별 에이전트가 수집한 각종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로그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로그 DB

  • ESM Policy Repository : 조직의 보안정책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통합 보안 정책 데이터베이스


2. NAC(Network Access Control)]

사용 단말이 내부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전에 보안 정책을 준수했는지 여부를 검사해 네트워크 접속을 통제하는 보안 솔루션

- 내부자에 의한 보안사고 증가와 접속 단말의 다양화, 네트워크 통합 보안 관리가 요구되면서 NAC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NAC의 주요기능

1) 접근제어/인증

- 내부 직원 역할 기반의 접근 제어

- 네트워크의 모든 IP 기반 장치 접근 제어

​2) PC 및 네트워크 장치 통제(무결성 체크)

- 백신 관리

- 패치 관리

- 자산 관리

​3) 해킹, 웜, 유해 트래픽 탐지 및 차단

- 유해 트래픽 탐지 및 차단

- 해킹행위 차단

- 완벽한 증거 수집 능력

Leave a comment